★강사 소개
'리박스 컨설팅' 대표 정태희 작가님은 전 GE korea 인사총괄 전무 이자 글로벌 HR 전문가입니다.
세계적으로 가장 영향력 있는 코치 마셜 골드스미스 코칭을 국내외 CEO와 임원들에게 제공하는 한편, 전 세계 20여 명의 파트너들과 함께 다양한 조직 설계와 리더십 교육, 인사전략 설루션을 제공하고 있다. 2014년 GE의 Jeff Immelt의 The Most outstanding Leadership Award를 수상, 2017년 Global HRD Congress의 영향력 있는 Top Global 100 HR 전문가에 선정되었으며 2018년 대한민국을 이끄는 혁신리더 여성 CEO 부문을 수상하는 등 세계적으로 영향력 있는 리더십 전문가로 인정받고 있습니다.
★강의 내용 (feat 윌라 클래스)
'아는 것이 힘이다'라는 말은 예전부터 통용되는 말이지만 4차 산업 시대에서는 더 이상 아는 것만이 힘이 되는 시대는 지났습니다. 이제는 몸소 실천하는 행동이 없으면 아무것도 달라지지 않는 시대가 도래했습니다.
이제는 '뭔가를 하는 것이 힘'인 시대가 되었습니다. 행동하는 인재가 되기 위해서는 기존의 내가 아는 것, 내가 성공했던 방식, 내가 굳게 믿고 있는 것을 깨뜨리는 힘을 키워야 합니다.
세계적인 미래학자 엘빈 토플러는 "21세기의 진정한 문맹은 새롭게 학습하지 않고 배우는데 관심이 없고 배우는 것을 거부하는 사람이 문맹인"이라고 강조했습니다. 그런 의미에서 이 시대의 리더들에게 필요한 정신이 바로 '리버스 멘토링'입니다.
리버스 멘토링은 세대를 거꾸로 뒤집어서 사회경험과 연륜이 적은 젊은이들로부터 시니어가 배우는 마음으로 전문 영역을 멘토링 받는 개념입니다. 편안하게 안주해 온 조직을 뒤집고 굳게 믿어왔던 개념이나 철학을 뒤집어 보고 불편한 사람과의 관계를 역지사지로 생각하는 새로운 패러다임입니다.
리버스 멘토링에 참여하기 앞서 스스로 꼰대 마인드를 탈출하기 위한 노력이 필요합니다.
우리는 사람을 대한 방식. 일하는 방식, 새로운 것을 배우는 방식 등 모든 것을 뒤집어야 할 때가 왔습니다.
틀을 깨기 위해서는 큰 용기가 필요합니다. 조직은 계속 변화하고 프로세스는 바뀌고 생각의 변화가 요구됩니다. 현재 국내 최대 대기업의 최고 리더는 예전의 나이 많으신 할아버지뻘의 회장님이 아닙니다. 40대, 50대의 젊은 리더들로 바뀌었습니다. 세대교체의 시기는 더 빨라지고 있습니다.
현재 미국에서 리버스 멘토링을 실시하는 기업의 수가 무려 전체의 40%에 육박한다고 합니다. 배움의 대상이 누구든 가리지 않고 배워야 합니다. 살아온 날과 삶의 지혜는 반드시 정비례하지는 않기 때문입니다.
멘토링 프로그램의 종류에는 목적과 역할에 따라 크게 커리어 멘토링, 리버스 멘토링, ceo육성 멘토링, 서클 멘토링, 플래시 멘토링 다섯 가지로 나눌 수 있습니다.
멘토의 유형도 도전적인 스타일, 격려하는 스타일, 창의적인 스타일, 교육적인 스타일, 친화적인 스타일로 나눠볼 수 있습니다.
멘토링 프로그램은 마음과 감정이 들어간 의사소통 능력이 중요합니다. 반드시 잊지 말아야 하는 부분은' 상대방과 동등한 위치에서 인간 대 인간으로 존중하면서 배려를 바탕으로 함께 해결하려는 노력이 내 마음 안에 있는가'입니다. 배려와 존중의 마음은 대화를 하는 태도에서 자연스럽게 묻어 나오기 마련입니다.
커뮤니케이션에서 자세, 표정, 음색, 말투 등의 비언어적인 요소가 미치는 영향은 상당히 높습니다. 이를 '메라비언의 법칙'이라고 합니다.
리버스 멘토링에서 질문하고 대답을 하는 것은 굉장히 중요한 모멘트입니다. 멘토이던, 멘티이던 실천적 공감능력이 필요합니다. 실천적 공감은 기존의 공감에 감정이입을 하고 함께 문제를 고민하는 단계입니다. 이는 상대를 신뢰하고 고마움을 느끼게 할 수 있는 강력한 도구가 되어줍니다.
감정을 바로잡기 위한 기법으로는 첫째 생각을 솔직하게 말하기, 둘째 감정을 솔직하게 전하기, 셋째 기대하는 바를 솔직하게 전하기가 있습니다. 가장 힘든 것은 서로가 서로에게 불편한 진실을 이야기하는 피드백의 순간입니다. 자신의 확신을 내려놓고 소통의 핵심 감정인 심리적 안정감을 깊이 생각해 보아야 합니다. 부정적인 감정을 배제하고 상대에 대해 존중하는 마음을 내 마음 깊숙이 갖는다는 그 자체가 심리적 안정감을 가지게 하는 가장 중요한 요인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조직 내에 심리적 안정감이 있으면 실수를 인정하고 서로 도우려는 긍정적인 에너지가 발산되고, 배움으로 확산됩니다. 심리적 안정감은 회사가 장기적으로 혁신하고 성공하기 위해 매우 중요한 요소입니다.
내가 가진 것을 나누고 타인의 노하우를 가감 없이 내 것으로 내재화하기 위해서는 많은 부분에 호기심을 가지고 배우려는 마음을 가지고 리버스 멘토링을 실현하는 개척자가 되어야 합니다.
★적용할 점(Action)
1. 긍정적인 피드백이나 부정적인 피드백을 이야기할 때는 긍정적인 피드백을 먼저 제공하자.
2. 주어를 '나'로 만들자. "나는 이렇게 하니까 참 효과가 있었는데, 어때?"
3. 질문 기법 중에 '자기 개방 기법'을 적용해보자. " 요즘 건강이 어때?" 보다는 "요즘 내가 너무 살이 쪄서 지난달부터 운동을 하고 있는데 너무 좋아~ 너는 요즘 건강에 대해 무슨 일을 하고 있니?"가 상대방의 마음이 활짝 열릴 수 있다.
'강의노트'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진짜 부자는 '이것'에 먼저 투자한다 2편.[성장하는 강의노트⓸] (0) | 2021.09.20 |
---|---|
진짜 부자는 '이것'에 먼저 투자한다 1편.[성장하는 강의노트⓷] (0) | 2021.09.19 |
리더가 조직의 행복을 고민할 때 먼저 해야 할 일[리더되는 강의노트⓷] (0) | 2021.09.19 |
'쓰는'사람이 되고 싶다면. [작가되는 강의노트⓵] (0) | 2021.09.18 |
일 잘하는 사람은 단순하게 합니다.[성장하는 강의노트⓶] (0) | 2021.09.18 |
댓글